기타/시니어 (126) 썸네일형 리스트형 글쓰기가 불편한 분들을 위해... 점점 고령화되어가는 한국사회에서 노년층을 위한 제품 개발은 필수죠. 노령화 속도에 비해 이 분야에서는 아무래도 우리가 많이 뒤처진 거 같습니다. 외국 싸이트를 검색하다 보면 국내에는 생소한 제품이 꽤 있습니다. 그중에 하나!! 노년층이나 장애우를 위한 펜입니다. 무슨 펜이나냐고요? 관절염이나 신경통 혹은 근육마비로 인해 글씨 쓰기가 불편한 분들을 위한 제품입니다. 생긴건 이렇게 생겼습니다. 종이와 접촉되어 지지해주는 경사면이 있네요. 손떨림이나 펜이 따로 노는 것을 방지해주죠. 손에 쥐고 글씨는 쓰는 모습입니다. 이런 제품은 시장 규모 여부를 떠나서 하나쯤은 나와줘야 하는 제품이 아닌가 합니다. 아니면 필요한 분들을 위하여 수입이라도 해야겠지요. 아 ~~제품명은 steadywrite pen이라네요. 개당.. 즐기는 방법을 가르친다, 게임 강좌 일본 중노년층에 인기.게임 손자와 함께 텔레비젼 게임을 즐기고 싶지만, 노는 방법을 모르다….그런 중노년을 대상으로 한 텔레비젼 게임 강좌가 열려 인기를 끌고 있다. 중노년층을 대상으로한 강좌로 난해한 전문 용어도 알기 쉽게 바꾸어 말해 준다. 전원를 넣는 방법이나 소프트의 꺼내는 방법 등 완전한 기초부터 가르쳐 주는 점도 호평을 받고 있다. http://www.iza.ne.jp/news/newsarticle/19603/ 게임 업계의 재미있는 움직임을 리포트하는 기사가 게재되었다. 중노년을 대상으로 한 가정용 게임 강좌가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한다. 이 강좌는 [게임을 즐기기 위한 강좌]라고 한다. 중노년층이 다니는 게임 교실의 목적은, 물론 [스스로 게임을 즐기기 위해]이다. 하지만 보다 중요한 요소는 [손자와 함께 놀기 위해]에.. 고령화 시대를 대비하는 도시 1년 전 KDI 경제정보센터가 전문가를 대상으로 ‘우리 사회의 가장 큰 사회 문제’에 대해 설문조사를 한 결과 고령화ㆍ저출산 문제가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이같이 우리에게 참으로 고마운 세대인 노인들이 많아진다는 것이 심각한 사회 문제로 인식되는 안타까운 일이 발생하고 있는 이유는 다름 아닌 고령화의 속도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고령사회 진입 기간이 18년(2000~2018)밖에 걸리지 않을 것으로 전망(비전2030)되고 있다. 이런 속도의 고령화는 노인복지 수요의 급증, 성장속도 둔화 등 우리 사회 전반에 커다란 파장을 불러일으킨다. 뿐만 아니라 고령화는 대부분의 국민이 살고 있는 도시환경의 변화를 요청한다. 어느 정도 자산은 있지만 소득이 일정하지 않은 노인들이 많아진다는 것은 핵가족의 확산과 세대 .. 실버들의 디지털 ‘더 쉽게 간편하게’ 버튼 하나로 모십니다 《“할머니, 길 잃어버리면 휴대전화의 이 버튼 하나만 누르시면 돼요. 아셨죠.” SKT는 노인 위한 휴대전화 부가 기능으로 ‘긴급호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어려움에 처한 노인이 휴대전화의 긴급버튼 하나만 누르면 사전 등록된 4명의 보호자에게 차례로 위치정보 문자메시지와 지도까지 전송해 준다. 고령화 사회를 맞아 노인들을 위한 디지털 기능이나 관련 제품이 인기를 모으고 있다. 》 ○ ‘아날로그 노인’도 쉽게 쓸 수 있는 디지털을 개발하라 삼성전자가 지난해 미국 시장에 선보인 초간편 휴대전화 ‘지터벅’은 최근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이 선정한 ‘2006년을 빛낸 10대 제품’에 선정됐다. 이 전화기에는 아예 숫자 버튼이 없다. 녹색 ‘교환원(operator)’ 버튼을 눌러 통화하고 싶은 전화번호를 말하.. 노인 주거-의료 등 한곳서… ‘고령 타운’ 2010년 들어선다 노인만을 위한 주거와 교통, 보건의료 서비스, 일자리 등을 한꺼번에 제공하는 대규모 ‘고령친화모델지역(고령타운)’이 이르면 2010년부터 전국에 조성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한국이 고령사회에 들어설 것에 대비해 고령자들이 살기에 적합한 80만∼100만 평 규모의 고령타운을 조성하는 방안을 지난해 8월부터 논의해 최근 이를 확정했다”면서 “고령타운 조성 방안을 저출산·고령사회의 핵심 정책을 모은 ‘5개년 기본계획’에 포함시킬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4일 밝혔다. 이어 이 관계자는 “고령타운 조성 계획안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부터 5년간 시범 사업을 실시하고 2012년부터 본 사업이 시작된다”면서 “시범 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되면 2010년부터 본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복지부.. 시설요양사업 '프렌차이즈' 도입…의료계 관심 고령친화산업 활성화 방안으로 시설요양서비스사업에 프렌차이즈를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는 지난해 장애인 포함 여부와 본인부담금 등을 이유로 의원간 이견을 보이며 국회 보건복지위 법안소위에 계류된 노인수발보험법이 내달 재논의될 예정이어서 의료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최근 ‘고령친화산업 환경과 활성화 방안’ 분석자료를 통해 “시설요양서비스 활성화 방안으로 경쟁력을 갖춘 요양서비스사업 운영자의 가맹사업이 가능하도록 관련법과 제도 등을 검토해야 된다”고 밝혔다. 고령친화산업은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하는 오는 2010년 본격적인 성장기에 진입하면서 2020년에는 성숙기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노인 인구의 10% 이상은 거동이 불편해 수발 또는 요양보호를 필요로 하고 핵가족.. 이전 1 ··· 13 14 15 16 다음